소재·부품융합전공

1.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교육과정 운영 계획

1.1 수요조사 체계

- 한양대학교 ERICA와 연계한 기업 대상 신규 인력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현장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수요조사 체계 구축
-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교육과정 구성 시 본 소재 → 부품융합전공 참여 기업의 설문조사 기반 산업 수요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

· 산업계 수요조사 체계

한양대학교 ERICA와 연계한 기업(LINC+ 가족기업,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사업 참여기업)들 및 산업기술진흥협회 유관기업 중에서 소재・부품 분야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신규 인력에 대한 기업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교육과정 개발에 반영하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수요조사 체계 구축

소재·부품융합전공 수요조사 체계 소재·부품융합전공 수요조사 체계
· ERICA-IAB(Industry Advisory Board)를 통한 참여 기업 의견조사 결과

- ERICA-IAB의 기업체 자문위원들로부터 산업체에서 바라는 인재상이나, 현 교육과정에 대한 아쉬움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한 조언을 얻음
- 소재・부품 관련 분야의 경우 인쇄회로기판 (Printed circuit board, PCB) 과 각종 부품 및 표면처리/도금 분야에 관련된 인력수요가 주를 이루었음
- PCB 분야의 경우 금속/세라믹/화학공학/전기전자/기계 분야의 융복합 지식을 갖춘 전문인력의 양성을 요청하였고, 현재 전통산업기술로 인식되어 기피분야가 되고 있는 표면처리/도금 분야에서는 관련산업기반분야 소재/공정 인력양성의 요청이 있음
- 산학협력과 관련된 교과목 개발에 관한 아이디어, 실무 위주의 교육 환경 및 강의실 구성에 대한 논의를 중점으로 진행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설문 결과를 얻음

참여 기업 의견조사
순번 구분 설문답변
1 교육과정 - 다학제간 융복합 지식 함양
- 전통산업기반 소재 관련 전공 지식 함양
- 실무적용을 위한 교과과정 및 실습교육
2 교육방법 이론실습 - 기업 현장에 맞게 이론 보다는 실습 위주의 교육과정이 필요함
온라인 - 학생들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교육방법을 적극 활용하였으면 함
IC-PBL - 현장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교육방법이 적용되었으면 함
3 교육환경 - 다학제적/산업기반기술의 실습이 가능한 환경을 활용할 수 있어서 학생들이 현장의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해 보았으면 함
4 교육횟수 - 주 1회 야간수업을 진행하되, 계절학기 및 주말 강의 등을 활용한 현장업무에 지장이 없는 탄력적인 교과 운영이 이루어졌으면 함
1.2 교육과정 설계 · 1.2.1 개요

신설학과명: 소재→ 부품융합전공
신설배경: 국내 주요 소재부품산업은 유기/무기 소재 및 공정이 융합된 기술 또는 전통산업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어, 유기/무기/공정 분야가 통합된 융복합 교육 및 산업기반기술
관련 지식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 양성이 중요함
교육목표: 금속/세라믹/화학공학/전기전자 분야의 융복합 지식을 갖춘 전문인력과 전통산업기반 소재/공정 전문인력을 양성
전공핵심 등의 기본교과와 산업체 맞춤형 실습교과를 중심으로 단계적 소재·부품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학년별 교과목・학점 배분

소재·부품융합전공 교과목 이수체계도
· 교수진 구성

재료화학공학, 기계공학 전공교수 및 산업체 전문인력 배치를 통한 이론 및 실무역량이 균형잡힌 소재·부품 전문 교육과정 설계

순번 성명 전공 담당교과목 순번 성명 전공 담당교과목
1 좌○○
(모체학과)
나노소재 전자부품 적용 나노소재, 전자물성/td> 7 이○○
(참여학과)
기계공학 기계설계, 기계제작공정
2 유○○
(모체학과)
표면처리 물리화학, 열역학 8 신임교원1
(모체학과)
고분자 유기화학1, 유기합성실험,
기능성 고분자, 분광기기실험
3 이○○
(모체학과)
전자재료 재료과학1, 반도체 공정,
반응속도론
9 신입교원2
(모체학과)
표면처리 도금 공정 실험, 화공양론, 전자 부품 분석실험
4 박○○
(모체학과)
금속재료 강도학, 미세조직실험, 현대물리 10 신임교원3
(참여학과)
로봇공학 공학영어, 동역학
5 박○○
(모체학과)
반도체 반도체 소자,
PCB 및 박막공정, 전자기학
11 산업체
참여자1
고분자 고분자화학
6 신○○
(참여학과)
기계공학 기구학, 머니퓰레이션 12 산업체
참여자2
전기회로 전기회로

스마트융합공학부 소재·부품융합전공 교과목 총괄표

소재·부품융합전공 교과목 총괄표
학년 학기
(학점)
교과목 정보 교육 방법 기업수요교과 교육 환경 비고
교과목명 이수 구분 학점 IC - PBL 스마트 강좌 이론 실습 기업 연계형
1 1 (21) IC-PBL과경력개발 전공핵심 1 창의융합교육센터 커리어개발센터관장
4차산업혁명의이해 전공핵심 3 창의융합교육센터 커리어개발센터관장
소프트웨어의이해 전공핵심 1 On-line 전용
미분적분학1 전공핵심 3 일반강의실
일반물리학1 전공핵심 3 일반강의실
일반물리학실험1 전공핵심 1 일반실습실
일반화학1 전공핵심 3 일반강의실
일반화학실험1 전공핵심 1 일반실습실
재료과학1 전공핵심 3 Knowledge Lab*
여름 (9) 유기화학1 전공핵심 3 Knowledge Lab*
물리화학 전공핵심 3 일반강의실
공업수학1 전공핵심 3 일반강의실
2 (21) 공학영어 전공핵심 3 창의융합교육센터 소재부품융합전공관장
공학기초인문학 전공핵심 3 창의융합교육센터 소재부품융합전공관장
열역학 전공핵심 3 일반강의실
현대물리 전공핵심 3 일반강의실
융합전기화학개론 전공핵심 3 일반실습실
유기합성실험 전공핵심 3 일반실습실
고분자화학 전공핵심 3 Knowledge Lab*
미세조직실험 전공핵심 3 Knowledge Lab*
겨울 (9) 상변태론 전공핵심 3 Knowledge Lab*
강도학 전공핵심 3 일반강의실
전자재료물성 전공핵심 3 일반강의실
2 1 (12) 창의융합프로젝트1 전공심화 3 일반강의실
Flipped Learning
고체역학 전공심화 3 일반강의실
Flipped Learning
기계융합 나노디그리 교과
소재융합실험계획법 전공심화 3 일반강의실
반도체소자 전공심화 3 일반강의실
Flipped Learning
여름 (3) 프로토타이핑프로젝트1 전공심화 3 창의융합교육센터
2 (12) 박막공정 전공심화 3 Knowledge Lab*
기구학 전공심화 3 일반강의실
Flipped Learning
기계융합 나노디그리 교과
표면처리실험 전공심화 3 Knowledge Lab*
창의융합프로젝트2 전공심화 3 일반강의실
Flipped Learning
겨울 (3) 프로토타이핑프로젝트2 전공심화 3 창의융합교육센터
3 1 (12) 기업R&D프로젝트1 전공심화 3 창의융합교육센터 R&D교과
소재물성분석실험 전공심화 3 Knowledge Lab*
글로벌공학리더쉽 전공심화 3 일반강의실
기계설계 전공심화 3 머시닝기술센터
Flipped Learning
기계융합 나노디그리 교과
여름 (3) 전기회로 전공심화 3 일반실습실
2 (12) 기업R&D프로젝트2 전공심화 3 창의융합교육센터 R&D교과
나노소재 전공심화 3 일반실습실
소재융합경영전략 전공심화 3 창의융합교육센터
Flipped Learning
제어공학 전공심화 3 머시닝기술센터
Flipped Learning
기계융합 나노디그리 교과
겨울 (3) 반도체공정 전공심화 3 일반강의실
Flipped Learning
소계 118 13 10 40 18 16 28

* : Knowledge 소재·부품 Lab으로 창의융합교육센터 소속

· 1.2.2 교육과정 운영계획

- 참여기업의 수요조사 설문 결과 및 IAB 의견을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기업 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
- 본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목표를 현장실무 실용인재, 소재·부품 전문인재, 문제해결형 창의인재 양성으로 하고 이를 위한 교육과정과 IC-PBL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계획을 수립

· 본 계약학과 참여기업 수요조사 반영 결과

- ERICA-IAB 결과 참여 기업은 계약학과 소재·부품융합전공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유기/무기/공정 융복합 교육, 표면처리/도금 등 전통산업기반 기술 교육, 현장실무 적용능력 배양, 실습 위주 교육과정 편성 등과 같은 내용이 교육 과정에 반영되길 희망하였음 -참여 기업의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스마트융합공학부 소재·부품융합전공은 아래와 같이 참여 기업 요구사항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 계획을 마련하였음

본 계약학과 참여기업 수요조사 반영 결과
순번 구분 설문 답변 내용 반영 사항
1 교육과정 - 유기/무기/공정 융복합 교육 필요 유기/무기 소재 및 공정 기술 분야가 통합된 융복합 교육 과정 편성
금속/세라믹/화공/전기전자를 아우르는 다학제적 교육 과정 편성
- 표면처리/도금 등 전통산업기반기술 교육 필요 기존 모체학과 및 유사학과에서 그 기반이 취약한 전통산업기발기술 관련 교육과정 편성
- 현장실무 적용능력 배양 기존 IAB (Industry advisory board, 산업연계교육자문위원회) 시스템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IAB를 강화/재구성하여 교과목 수시개편 등으로 대응
2 교육방법 이론 실습 - 실습 위주 교육과정 편성 필요 전체 편성 교과목 42개 중 18과목에 실습 적용
온라인 - 온라인 교과 운영 필요 전체 편성 교과목 42개 중 11과목에 온라인 교육방법이 적용되어 있으며 특히 계절학기에 개설되는 이론 수업은 모두 온라인 강의로 운영
IC-PBL - 현장 문제 해결형 교과 운영 필요 전체 편성 교과목 42개 중 13과목 IC-PBL 적용
3 교육환경 - 유기/무기/공정관련 실습환경필요 모체학과 전용 실험실습실
4 교육횟수 - 야간 주1회 이하, 주말/온라인 강의 우선 2, 3학년의 업무-학습 병행을 위해, 학기별 12학점 중,3학점 주중, 9학점 토요일 (6학점 Flipped Leaning 포함 총 6시간)
·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계획

- 모체학과의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유기/무기 소재 및 공정기술의 융복합 교육과정을 새로이 편성하여 운영함
- 통폐합 또는 약화되어 있는 전통산업기반기술 관련 전공을 세분화/재편성하여 운영함
- 매학기 IAB 회의를 통해 교과과정을 평가하고 필요시 수시개편을 통해 재편성하여 운영함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계획
교육목표 교육과정 구성 교육과정 운영계획
현장실무 실용인재 양성 실습 관련 교과 - 미세조직실험, 유기합성실험, 표면처리실험 등 다양한 형태의 현장실무중심 실습과목 운영
소재·부품 전문인재 양성 전공 관련 교과 - 유기/무기 소재 및 공정 관련된 융복합 교과과정 및 전통산업기반기술 관련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
문제해결형 창의인재 육성 IC-PBL등 관련 교과 - 미세조직실험, 유기합성실험, 소재물성실험 등 3년 과정동안 총 30% 이상의 IC-PBL 과목 유지/운영
· 1.2.3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목적과의 부합성 및 차별성

- PCB 및 표면처리/도금, 각종부품 기업수요를 반영하여 산업체와 공동교육과정 개설
- 학기 시작/운영/종료 시점에서 산업체교과운영위원회의 검토를 받아 기업이 원하는 인재로 학생들이 성장해 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 운영
- 전체 교과목을 실습 위주로 운영하여 현장 감각이 있는 인력 양성
- R&D 프로젝트와 IC-PBL을 활용하여, 현장의 문제를 미리 경험하여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움
- 탄력적인 스마트 강좌 적용 및 주말 수업으로 학생과 기업 부담 최소화

· 소재·부품융합전공 신설배경 및 부합성

국내 주요 소재부품산업은 유기/무기 소재 및 공정이 융합된 기술 또는 전통산업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어, 금속/세라믹/화학공학/전기전자 분야의 융복합 지식을 갖춘 전문 인력과 전통산업기반 소재/공정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혁신적/융복합적 전공을 신설함

부품융합전공 교과과정 신설배경 및 부합성 부품융합전공 교과과정 신설배경 및 부합성
·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소재·부품융합 전문인력 조기양성 교육과정 개설

- 산업현장 설문조사를 반영한 교과과정 편성
- 졸업생 및 참여기업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탄력적인 교과과정 개편

전문인력 조기양성 교육과정 개설
구분 기존 (재료화학공학과) 스마트융합공학부 (소재·부품융합전공)
기업의 인재 수요 반영 - 전통적 이론 중심 강의 교육
- 전통산업기술의 통폐합화
- 다학제적 융복합 이론 및 실습 중심 교육 전통산업기술 교육의 강화
탄력적 수업 운영 - 주간 Full Time 교육과정 운영
- 온라인 및 계절학기 이수 제한
- 실습 및 취업 여건을 고려한 야간, 주말, 온라인 강좌 중심 교육과정 운영
(평일 야간 오프라인 강의 최소화)
소재·부품 관련 실습환경 구축 - 재료화학공학부 내 시설 - 창의융합교육센터, Knowledge Studio 및 스마트제조러닝센터 등의 실습 환경 적극 활용
기업연계 문제해결 교과 - IC-PBL 및 캡스톤 디자인 운영 - 기업이 요구한 사항을 기반으로 IC-PBL 및 프로토타입 프로젝트, 기업 R&D 프로젝트 운영
1.3 교육과정 운영체계 · 1.3.1 교육과정 운영의 혁신성, 차별성

- “소재·부품 산업 니즈에 부합하는 다학제적 융복합/기반기술 기능인력 양성”을 위해, 1) 다학제적 융복합 교과과정, 2) 전통산업기반기술 강화 교과과정, 3) 나노디그리 기반 선택형 교과트랙 등을 특화전략으로 제시함
- 실무역량 중심교육을 위해 산업체의 교과목 개발 및 운영참여, 강사 초빙 등의 산학협력 교육과정을 대폭 강화하고, 입학부터 졸업 시까지 산업체-학생 전문가 양성 토탈 솔루션 제공
- 소재/부품 산업체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교과 운영 및 학생 활동 프로그램 제공

· 재료화학공학과 교육과정 운영방식의 혁신성 및 차별성

- 한양대학교 ERICA 재료화학공학과는 지속적인 산학연 연계를 통한 과학적 지식을 갖춘, 문제 해결이 가능한 인재 양성을 위한 전공 교과목 이수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IC-PBL 및 캡스톤 디자인 과정을 통해 산업 문제 해결형 인재로 양성되고 있음 (‘18년 2학기 IC-PBL 교과목 개설 현황: http://pbl.hanyang.ac.kr/)
- 학기별 실험교과 개설을 통한 재료화학공학에 필요한 이론 기본 지식뿐만 아니라, 소재·부품의 이론에 기초한 분석법을 동시에 익힘으로서 실무 능력을 갖춘 재료화학공학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 소재·부품융합전공 운영방식 특화전략

- 소재·부품융합전공의 교육목표인 “다학제적 융복합/기반기술 기능인력 양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료화학공학과의 우수한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3대 핵심 특화전략을 제시함
- 소재·부품 산업맞춤형 교과과정 및 교과트랙을 구성하며, 교과 과정의 실효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개발, 취업지원, 현장실습 등 학과의 교과과정에 걸쳐 산업체 참여 장려
- 전임교원을 통한 기초 필수 이론 강의와 더불어, 소재·부품 실무역량 강화를 위해 협약기업별 전문가를 겸임교수, 시간강사 등으로 초빙하여 이론・실무 병행 교과 운영

소재·부품융합전공 운영방식 특화전략
교육과정 특화전략 전략 세부 내용
다학제적 융복합 교과과정 - 유기/무기 소재 및 공정기술 분야가 통합된 금속/세라믹/화공/전기전자를 아우르는 다학제적 융복합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
전통산업기반기술 강화 교과과정 - 통폐합 또는 약화되고 있는 전통산업기반기술 관련 교과목을 강화한 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
기계융합 나노디그리 선택형 교과트랙 - 전공과목 이수 외, 기계설계 전문가에게 필요한 4가지 필수교과를 이수한 학생에 한하여 소재․부품융합전공 외 기계융합 나노디그리 부여
· 소재·부품융합전공에 참여기업 수요를 반영한 나노디그리 과정개설

참여기업의 수요를 기반으로 소재/부품융합전공 내에 기계융합 나노디그리 과정을 개설/운영하고 기업맞춤형 교재를 개발함. 또한, 산업체 공동 교육과정 개발 운영 위원회를 통해 성과를 검증하여 졸업생 인증

나노디그리 과정개설 나노디그리 과정개설
· 1.3.2 교수활동 및 학습활동 관리체계

소재/부품융합전공의 교육과정과 교수활동, 학생 학습활동의 최상의 품질 유지를 위해, 기구축된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기반으로“소재·부품융합전공 교육 질 관리체계”를 구축/운영함

· 소재·부품융합전공 교육 질 관리체계 구축계획

신설되는 스마트융합공학부 소재·부품융합전공은 “다학제적 융복합/기반기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융합교육의 질 관리 제도를 도입함

교육 질 관리체계 구축계획
분야 질 관리 항목 질 관리체계의 평가 및 활용비고
강의평가 - 강의평가결과 문항별 점수 100% 공개
- 학기 중 중간 강의평가 실시
- 매학기 학생 교육만족도 실시
- 강의평가 결과 활용 학연산 클러스터 교육과정 매학기 개편
- 강의평가결과의 교원 업적평가에 반영하여 교육의 질 향상
- 교육만족도 결과의 차학기 교과과정 반영
전임교원 교육관리 - 전공수업의 30% 이상 전임교원 배분
- 융합교과목 및 산학연계형 교양/전공교육개발 및 교수법 프로그램 강화
- 전공 간 Code Share를 통해 교과선택 기회 제공 및 전임교원 강의부담 완화
- 교원업적평가에 특허, 수상, 창업지도 등 산학영역 적용
학부운영 - 전공과목교류제도(Code Share) 시행 - Code Share 기반 나노디그리 제도 도입
- 전공간 융합교육 활성화 및 과목선택의 기회 확대
산업연계 - 2, 3학년 학생 현장실습 기관 및 실습현황에 대한 정기적 방문점검 실시 - 주기별 현장방문을 통한 근무 질 점검 및 학점 반영
- 부실운영 및 근무실태 불량학생에 대한 패널티제도 운영
· 1.3.3 교육과정 운영의 혁신성, 차별성

학생의 “평생경력개발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학기별 세분화된 ERICA 경력개발 코스를 융합하여 소재·부품산업계 및 개인의 니즈에 모두 충족하는 최상의 창의실무 인력 양성

· 한양대학교 ERICA 진로지도 및 경력개발 지원 프로그램

- 입학 시 취업이 결정되는 학생의 경력개발을 위해 교수-창의융합교육센터 직원-학생-산업체 담당자 등으로 구성된 “평생 경력개발 멘토링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함
- 또한, ERICA-CDP(Career Development Program)를 통해 커리어개발센터, 학연산클러스터팀, 창의융합교육원, 한양상담센터 등과 통합 연계된 경력개발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

전주기적 학생 진로지도 및 경력개발 지원 시스템 전주기적 학생 진로지도 및 경력개발 지원 시스템

한양대학교 ERICA의 전주기적 학생 진로지도 및 경력개발 지원 시스템

2. 학생선발 및 교원확보 계획

2.1 학생선발 및 지원계획

- 협약 기업과 학교에서 홍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우수인재를 위한 단계적 학생선발 시스템을 통한 전공 수행능력 및 자질평가와 인재 선발에서부터 육성, 사회 진출까지 전주기적 프로세스 관리
-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에 적합한 개방형 교육과정과 실무 중심의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 도입

· 우수 인재를 위한 학생선발 시스템 마련

한양대학교 ERICA와 연계한 기업(LINC+ 가족기업,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사업 참여기업)들 및 산업기술진흥협회 유관기업 중에서 소재・부품 분야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신규 인력에 대한 기업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교육과정 개발에 반영하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수요조사 체계 구축

· 우수 인재육성 및 사회진출까지의 전주기적 프로세스 관리

- 1차년도 : 첫 시행 연도인 2019년 입학 시, 협약 기업과의 근로계약 체결 후 입학, 채용기업과 학생 간 인력 수급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협약 기업과 학생 간 사전 미팅 추진 2차년도 이후 : 계약학과 취업캠프를 통한 기업 매칭 실시
- 협약 기업들과 학기별 교육 진행상황 및 연구실습 수행성과 발표회 개최하고, 기술사업화 및 R&D 지원을 위한 협약 기업과의 정기적 모임을 통한 상호 교류
- 소재·부품 전문가의 멘토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학업 설계부터 사회 진출까지의 우수 인재 양성에 필요한 토탈 솔루션 프로그램 진행
- 전주기 프로세스 검토 후 개선방안 모색 및 추후 교과과정에 반영(졸업생 및 협약 기업 설문조사)

·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에 적합한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 도입

- 유기/무기 소재 및 공정 분야를 통합하는 다학제적 융복합 전문인력 및 전통산업기반기술 전문인력 육성을 위해, 협약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는 개방형 교육과정(Open Curriculum) 구성
- 기업 맞춤형 프로토타이핑 프로젝트 1,2 syllabus 설정, 소재/부품 산업 현장을 연계한 교과과정 및 IC-PBL 교육과정 운영

· 소재·부품융합전공 자체 진단팀 구성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환경 개선

- 소재·부품융합전공 교수, 협약 기업, 학생 대표로 이루어진 소재․부품융합전공 자체 교육 운영 진단팀을 구성하여 년도별 소재․부품 전문 인재 양성 성취도 평가
-자체 교육 운영 진단팀 분석 결과를 통한 주기적인 소재·부품 전문 인력양성 교육 프로그램 개선

학생선발 단계 학생선발 단계
2.2 교원확보 및 지원계획

- 전임교원 선발 시 모체학과 학부생 대상 대학원생 모집 및 실험실 운영 권한 보장
- 전임교원(강의전임 포함) 선발 시 산업체 연구과제 수행 및 산업체근무 경력 의무화
- 모체학과 신임교원 채용 시 계약학과 강의시수 의무화
- 모체학과 교원과 계약학과 교원 간의 역할 분담 및 공동학부회의를 통한 논의 및 공유

· 신임 교원 지원 계획 및 참여교수 역량

- 우수한 계약학과(소재/부품융합전공) 전임교원 선발을 위해 신규채용 전임교원 선발 시 모체학과 학부생을 대상으로 대학원생 모집 및 실험실 운영 권한을 보장함. 대학원 학과는 모체학과(재료화학공학과)와 겸임 소속으로하여 연구도 병행토록 함
- 산학 연계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원 신규 임용 시 산업체 경력자를 우대하는 정책 의무화 실시
☞ 한양대학교 ERICA는 최근 5년간 총 67명의 전임교원을 신규 임용하였으며 그 중 61명이 산업체 경력을 가지고 있어 산업 및 사회 연계 교원의 채용 비율이 높음 <2018년 대학정보공시기준>
- 참여교수 역량: (구)재료공학과는 2012년도 산업계 관점 학과평가에서 전국 1위, (구)화학공학과는 2013년 중앙일보평가 전국 6위를 기록함. 각종 대형 국책과제, CK 사업팀, 2개의 BK사업팀 등을 유치하였고, 연간 평균 100억 원 이상의 교외 연구비를 수주

· 참여교수 간의 역할분담 및 협조체제

- 모체학과(재료화학공학부) 교원: 협약기업 섭외, 교육과정 수립, 계약학과 강의, 협약기업의 학생을 통한 연구실습 수행, 협약 기업 위탁 연구개발에 참여
- 계약학과(소재․부품융합전공) 교원: 강의, 기업요구 반영 교육과정 지속적 개선, 협약기업과 관련된 제반 업무 수행
- 협약기업 추천 특임 교원: 기업 맞춤식 교육, 실습 교육과정 개선 참여
- 모체학과 교원, 계약학과 교원, 협약기업 추천 특임교원들이 공동학부회의를 개최하여 제반 사항에 대한 의견 교환 및 공유

교원확보 및 지원계획 교원확보 및 지원계획
 
사이트맵 닫기